재테크 & 부업
직장인 연금저축 & IRP 절세 전략
다ON.
2025. 8. 21. 17:14
반응형
직장인 연금저축 & IRP 절세 전략
매년 반복되는 연말정산, 준비만 잘해도 수십만 원 차이가 납니다. 연금저축과 IRP를 활용한 절세 전략, 지금부터 알아보세요.
1. 연금저축 & IRP란?
연금저축은 노후를 위한 사적 연금으로, 일정 금액을 투자해 55세 이후 연금으로 수령합니다. IRP(개인형 퇴직연금)은 퇴직금 또는 추가 납입금으로 구성되는 계좌로, 이직이나 퇴사 시에도 유지 가능하며 절세 효과가 뛰어납니다.
2. 얼마나 절세가 될까?
연금저축과 IRP를 활용하면 최대 700만 원까지 세액공제가 가능하며, 공제율은 소득에 따라 13.2% 또는 16.5%입니다.
- 연금저축: 최대 400만 원 한도
- IRP 포함시: 최대 700만 원까지 확대
- 절세 환급 예: 연간 700만 원 납입 시, 약 92,400원 ~ 115,500원 환급
3. 세액공제 받는 법
연말정산 간소화 자료에 자동 반영되기 위해선 증권사나 은행을 통한 납입 내역이 국세청에 자동 등록되어야 합니다. 자동이체를 활용하면 납입 누락 없이 편리합니다.
4. 연금저축 vs IRP 비교
항목 | 연금저축 | IRP |
---|---|---|
세액공제 한도 | 400만 원 | 700만 원(연금저축 포함) |
중도 인출 | 가능 (세금 있음) | 불가능 (퇴직·이직 사유 제외) |
투자 범위 | 펀드, ETF 등 다양 | 보다 제한적 |
수수료 | 낮음 | 기관에 따라 상이 |
5. 자동화 전략 & 팁
- 매달 30만 원 자동이체 설정 → 연간 360만 원 납입 가능
- ETF 중심 포트폴리오 구성으로 운용 수익 극대화
- 연말엔 납입액 점검 후 추가 납입 고려
6. 결론 및 실행 가이드
연금저축과 IRP는 절세 + 노후 대비 + 투자 수익을 모두 챙길 수 있는 직장인 필수 재테크입니다. 지금 가입하고 자동화 루틴만 만들어도 매년 수십만 원 환급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오늘 바로 연금저축 또는 IRP 계좌를 개설하고 자동이체를 시작해보세요. 절세는 타이밍보다 꾸준함이 답입니다!
반응형